<p></p><br /><br />※인터뷰 인용보도 시 '채널A-뉴스A'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.<br><br>박지현 전 민주당 비대위원장이 내일 당대표 출마선언을 하는 이재명 의원을 향해 “팬덤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에 실망을 금할 수 없다”고 비판했습니다.<br><br> 박 전 위원장은 오늘 채널A ‘뉴스A’에 출연해 “지방선거 이후에는 따로 소통한 적이 없다”며 이같이 밝혔습니다. 박 전 위원장은 또 “이 의원이 당 대표가 됐을 경우에 한쪽에서 보복을 하려 할 것이고 우리당은 방패역할을 할 수 밖에 없다”며 “그러면 민생은 실종될 것”이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><br> 당 대표 출마가 특혜라는 지적에 대해선 “특혜가 아닌 룰”이라며 “출마가 안되는 이유가 있다면 비대위에서 공식적으로 처리해 달라”고 요구했습니다. 그러면서 “최강욱 의원 징계, 검수완박 속도조절, 586 용퇴론 등 듣기 불편한 이야기를 하니깐 출마를 거부하려는 거 아니냐”고 말했습니다. <br><br> 박 전 위원장은 “출마가 불발된다면 청년들과 시민들 목소리를 듣는데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입하려고 한다”고 밝혔습니다.<br><br>[아래는 인터뷰 전문]<br><br>[앵커]<br>그럼 여기서 어제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출마선언을 했죠. 박지현 전 비대위원장과 인터뷰를 진행하겠습니다. 어서오십시오 <br> <br>안녕하세요 <br> <br>Q. 지난 번에 화상으로 뵙고 두번째 인터뷰네요. 어제 날이 더워서 땡볕아래서 출마선언하기가 상당히 힘들었을거 같습니다. <br> <br>땀이 정말 많이 나는데 무엇보다 기자분들에께 좀 죄송하더라고요. 그 뜨거운 땡볕아래서 에어컨도 없는 곳에서 이렇게 선언을 해가지고... <br> <br>Q. 원래 계획은 거기가 아니었죠? <br> <br>그렇죠. 원래는 소통관에서 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그게 상황이 여의치 않아서 밖에서 하게됐습니다. <br> <br>Q. 박지현 전 위원장 하면 일단 청년이잖아요. 전례가 넓게 보면 있다고 하더라도, 나만 출마할 수 있게 해달라, 너무 예외를 주장하는거 아니냐. 특혜 요구하는거 아니냐는 시각이 있거든요. <br> <br>특혜가 아니라 룰이라고 먼저 설명을 드리고 싶고요. 당의 외연을 확장하고 외부인사를 영입하기위해서 만들어진 조항이 있습니다. 그거에 있어서 저만 안된다고 하는것에 왜 그동안은 이 조항을 그렇게 잘 적용해왔으면서 나만 안된다는것이냐 이렇게 말씀드리는 것이고요. <br> <br>Q. 넓게보면 박지현 위원장 입장에서는 누군가 출마를 의도적으로 막는다 느낄수있는 대목이 있을거 같습니다. 그렇다면 누가 어떤 의도로 그런다고 보십니까? <br> <br>최강욱 의원 징계던가 검수완박의 속도조절론이라든가, 586 용퇴론이라든가 이렇게 듣기 불편한 이야기들 하니까 아무래도 그런 목소리를 거부하려는 움직임이 아닌가 싶고요. <br> <br>Q. 정치라는게 강성팬덤과 결별하자 이야기했지만 정치인 입장에서는 팬덤 놓기가 사실상 어렵고요. 현실가능하냐는 다를텐데요. <br> <br>팬덤은 본인이 좋아하는 정치인이 잘못을 해도 맹목적 지지가 기반되서 비판할수없는 상황으로 계속해서 가고 있다고 봅니다.<br><br> 결국 그 팬덤이 우리 당과 지지하는 정치인도 다 망친다고 보고있고요. 보다 건강한 정치문화가 만들어지려면 팬덤보다는 비판적인 지지가 어떤 정치인에게는 필요하지 않나 생각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Q. 어제 썩은곳을 도려내서 구멍을 메운다는 표현을 했습니다. 썩은곳으로는 아까 몇가지 예를 들어주셨어요.. 이재명 의원도 같은 맥락에서 좀 쉬어야한다고 얘기한걸까요? <br> <br>이재명 의원이 당대표가 되는 것을 우려하는 이유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팬덤의 늪에서 빠져나오지 못하는 것에 좀 실망을 금할수 없었고요. <br> <br><br><br> <br> 무엇보다 이재명 의원이 당대표가 됐을 경우에는 한쪽에서는 보복을 위해서 막 이렇게 계속해서 보복을 하려고 할 것이고. 그럼 우리당은 막기위한 방패 역할을 할 수 밖에 없거든요. <br> <br>그럴 경우에는 민생 실종될거고 우리 여성과 청년들의 삶이 너무나 팍팍한 현실에서 민생 실종되면 안되잖아요.<br><br>그런 부분에 큰 우려 표하는것이고요. 아예 나오지 말아라가 아니라 일단 이번에는, 지금은 아니다. 말씀드리는 것이죠<br><br> <br><br>Q. 지금은 이렇게 됐지만, 대선 때만해도 기대가 컸던거잖아요. <br> <br>그렇죠. 그때는 이재명 의원께서 저에게 약속하셨던 것도 있었고. 성 공약에 대해서. 엄격하게 행동으로 보여드리겠다 말씀도 하셨어서 기대했던바가 컸습니다.<br><br> <br><br>Q. 선거 이후에 이재명 의원이 발탁한거니까 흉금을 터놓고 소통할 기회가 있었을까 궁금합니다. <br> <br>지방선거 이후요? 지방선거 이후에는 따로 소통한 적은 없습니다.<br> <br> <br> <br>Q. 어제 선언 이후에도? <br> <br>네 없습니다. <br> <br>Q. 이재명이 영입한 청년이란 후광 없이 걷어내고 여전히 호응을 얻을수 있을까요? <br> <br>굉장히 청년정치인이라고 한다면 기성정치인 품안에서 자라나는 이미지가 있었던 거 같습니다.<br><br>저는 청년정치인들이 보다 독자적으로 청년 정치를 구축해나가는 모습을 보여드려야 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. <br> <br>Q. 저희 20대를 생각해보면 너무나 드라마틱한 몇달 이었거든요. 다시 돌아가도 같은 선택을 할까요? <br><br>다시 돌아간다면 글쎄요.. 심각하게 고민을 해보진 않았는데. 그 당시에도 비대위원장 제안을 받았을때 엄청 거절을 여러번 했었거든요.<br> <br> 비대위원장을 하면서 분명 보람이 있었던일 있었기 때문에 위원장직하면서 후회없었습니다.<br> <br>다시 돌아간다 할지라도 같은 선택을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.<br> <br><br> <br>박지현 전 비대위원장이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윤수민 기자 soom@donga.com